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전북지부학회 월례 학술집담회 강연
2024년 3월 5일제목: 갑질의 심층심리학적 이해전북의 정신과의사 선생님 중에는 이미 알고 존경하는 분들이 많아 무척 반갑고 따뜻한 자리였다. 전공의가 없는 빈자리가 너무 안타까웠다.

진짜 의료 위기는 신뢰 붕괴에서 온다
“선생님, 선생님도 파업하실 거예요? 그럼 저는 앞으로 어떻게 치료를 받아야 해요? 그동안 의사 선생님들을 존경했는데, 이번에 의사들이 환자를 버리고 파업하는 걸 보고 너무 놀라고 실망했어요.”

The collapse of trust: South Korea’s true health care crisis
The collapse of trust: South Korea’s true health care crisis “Doctor, are you going on a strike too? Then how should I receive treatment from

뮤지컬 ‘키키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 관객과의 대화
정신과의사들과 뮤지컬 제작진이 함께 관객과의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작품에 대한 감상, 경계성 인격장애, 이해와 공감, 치료 과정의 어려움, 회복에 이르는 길… 차별과 낙인을 해소하고, 있는 그대로의

키키의 작은 씨앗: 뮤지컬 ‘키키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 안내서
극단적인 감정 변화와 불안정한 대인관계가 특징인 경계성 인격장애. 많은 사람들에게 아직 생소한 진단을 소재로 한 이 작품은 알고 보면 상처와 고통 속에서 아파하며 인정과 회복을

뮤지컬 ‘키키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
‘키키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는 경계성 인격장애를 소재로 한 뮤지컬 작품입니다. 극단적인 감정 변화와 불안정한 대인관계가 특징인 경계성 인격장애. 많은 사람들에게 아직 생소한 진단을 소재로 한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글로벌 정신건강지원팀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기간 올림픽 참가 선수와 코치, 스태프의 정신건강을 돌보기 위한 글로벌 정신건강지원팀을 운영합니다. 영어를 기본으로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인도네시아로 통역 없이

조선일보 칼럼: 마약 하면 인생 끝? ‘낙인 캠페인’은 잘못된 접근이다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영광스러운 절정을 누리던 배우 이선균이 사망했다. 처음에는 마약에 대한 온갖 가십이 미디어를 뒤덮었고 사람들 혀끝에 오르내렸다. 대중은 공인의 부도덕함을 손가락질했고, 연예인 마약

2023년 12월 3일: 2023년 한국임상예술학회 동계학술대회 갑질피해의 회복을 돕는 예술치료에서 ‘갑질의 심층심리학적 이해’ 제하의 강연
일시: 2023년 12월 3일 일요일, 09:30~17:30장소: 국립정신건강센터 11층 열린강당주최/주관: 한국임상예술학회

2023년 12월 1일: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현대사회 아픔과 치유’에서 ‘이주민 정신건강과 트라우마’ 제하의 강연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로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이정애 기자님, 백종우 교수님과 함께 강연했습니다. 김영미 PD님도 전쟁 트라우마에 대해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장학사, 교사도 강연해주셨습니다. 사회정신의학회는 정신과의사 중에 가장 사회참여적인 분들이

2023년 11월 23일: 2023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한국 사회와 집단트라우마:회복과 치유를 위한 동행’에서 ‘한국사회 진단 100분 토론: 우리사회, 트라우마로부터 안전한가?’ 패널 토론
2023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 사회와 집단트라우마: 회복과 치유를 위한 동행 일시 | 2023년 11월 24일(금) 9:00~17:30장소 | 경희대학교 청운관 지하 1층 대강당 및 경희의료원 암병원

2023년 11월 16일-18일: 동아시아문화정신의학회(The East Asian Academy of Cultural Psychiatry, EAACP) 참가 및 토론
동아시아문화정신의학회(The East Asian Academy of Cultural Psychiatry, EAACP)는 한국, 일본, 대만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모여서 문화정신의학(cultural psychiatry)에 대해 심도있게 공부하고 토론하는 오랜 역사를 가진 모임이다. 공부를

동아일보 칼럼: 사기 피해자에게 필요한 건 비난 아닌 위로
정찬승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 특임 이사한 청년의 믿기 힘든 사기 행각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재벌의 혼외자, 세계 최고의 학벌, 눈부신 청년 성공 신화, 양성을 오가는

조선일보 칼럼: 경쟁에 쫓긴 젊은층 자살 증가… 심리지원 강화를
최근 서울대 한 대학원생이 학내 도서관에서 “공부가 힘들다”는 취지의 유서를 남기고 숨진 채 발견됐다. 대학원은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다. 과제 마감일이 다가올수록 불안감이 커지고 실패에 대한

YTN라디오 ‘슬기로운 라디오생활’ 인터뷰: 군 트라우마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헌신하고 희생한 군인은 우리의 영웅입니다. 군인이 받은 몸과 마음의 상처는 혼자 감당할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모두가 기꺼이 감사의 마음을

행운의 블랙스완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재난취재보도와 트라우마과정’ 연수기
[특별기고] 방송기자연합회 저널리즘 아카데미 ‘재난취재 보도와 트라우마 과정’ 연수기 행운의 블랙스완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재난취재보도와 트라우마과정’ 연수기 정찬승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 Chan-Seung Chung, MD,

2023년 8월 23일: Dart Centre Asia Pacific ‘재난취재보도와 트라우마 과정’ 연수 참가
정찬승 원장은 2023.8.23~9.1 저널리즘 아카데미 <재난취재보도와 트라우마 과정> 참가하여 호주 멜버른에 위치한 저널리즘과 트라우마를 위한 다트센터 (컬럼비아대 저널리즘스쿨 부설 교육기관, Dart Centre Asia Pacific)에서 언론인을

2023년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하계연수교육- 故김제원 회원 추모심포지엄에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활동’ 제하 강연
2023년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하계연수교육 – 故김제원 회원 추모심포지엄 2020년 8월 5일 고 김제원 회원이 진료 중 불의의 사고를 당했습니다. 고 김제원 원장은 어려운 상황에 있는 환자를 돌보며 그들의 삶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