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2023년 8월 11일: [대담] 사법입원보다 국민안심입원제도를 제안합니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 앞서 시행하고 있는 사법입원제는 판사나 준사법행정기관에서 의료진과 학계의 자문을 거쳐 중증 정신질환자의 입원을 판단하는 제도입니다. 세부적으로는 ‘사법입원’과 ‘심판입원'(정신건강심판원)으로 나뉩니다. 정신병적 증상이 너무 심하거나 자해, 타해의 위험이 있을 때 본인은 입원을 원하지 않더라도 아픈 사람을 치료하고 사회 안전을 지키기 위해 도입하는 것이 사법입원제입니다. 현재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는 가족

흉기 난동 사건에 대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인터뷰 안내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최근 연달아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으로 언론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게 인터뷰 요청을 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회원 여러분이 언론과 인터뷰하실 때 도움이 되고자 아래와 같은 안내를 보내 드립니다. 1. 정신질환 추정 인터뷰를 지양해 주세요. 대상자를 직접 면담하여 진단하지 않고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조현병 등의 정신질환으로 단정 짓는 인터뷰는 정신질환에 대한

2023년 5월 10일: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성명서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성명서 “청소년이 자살동반자가 아니라 생명동반자를 찾도록 도와주자.” 최근 언론 매체와 인터넷을 통해 퍼진 온라인 커뮤니티와 연관된 청소년들의 자살 관련 소식에 너무나 참담하고 비통한 마음이다. 고인과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드린다. 자살은 자살한 본인은 물론이요, 남은 가족, 가까운 사람들, 우리 사회 모두에게 커다란 고통과 트라우마를 남긴다. 우리의 가장

2023년 4월 8일: 청년 정신건강 토크콘서트 ‘그대의 마음에 닿았습니다’
2023 마음의 날 캠페인 청년 정신건강 토크콘서트 <그대의 마음에 닿았습니다> 상처받은 마음을 지키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전하는 공감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삶의 방향성을 잃은 학생들의 마음에 위로를 전하는 김은영 교수 마약중독자들의 회복을 돕는 천영훈 원장 재난으로 고통받은 마음을 함께 들여다보는 심민영 센터장 3人의 의사가 전하는 마음 공감 이야기에 함께해 주세요! 행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경향신문 공동기획 ‘건강한 정신, 행복한 마음’ 연재 완료
‘건강한 정신, 행복한 마음’ 한국 사회의 정신건강 현안에 대해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대한신경정신의학회-경향신문 공동기획으로 ‘건강한 정신, 행복한 마음’을 연재했습니다. 1. 재난정신건강: 정찬승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 가장 위험한 건 고립…치유의 시작은 ‘연결’ https://www.khan.co.kr/life/health/article/202302032120005 2.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이소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소아청소년특임이사 부모·양육자·선생님과 대화는 ‘심리치유’ 첫걸음 https://www.khan.co.kr/life/health/article/202302172159005 3. 정신건강복지법 개정 방향: 이화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학교폭력 치유를 위해 정신과 의사가 보내는 편지
정찬승 융학파 분석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의학박사 이 글은 학교폭력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의 마음건강을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학교폭력 해결에 참여하는 위원과 선생님, 학생과 부모님 모두에게 보내는 편지입니다. 학교폭력 문제로 진료실을 찾는 학생과 부모, 교사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모두가 학교폭력이라는 감당하기 힘든 트라우마 때문에 고통을 받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의 마음건강을 중심으로 편지 형식의

10.29 이태원 사고 대응 트라우마 예방 및 회복을 위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활동
정찬승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홍보국장 I. 사고 발생 직후의 신속한 정신건강 대응 2022년 10월 29일 밤 이태원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고가 일어났고, 언론과 개인이 참상을 촬영하여 무분별하게 방송과 인터넷에 퍼뜨리기 시작했다. 재난정신건강위원회는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이 시작된 직후에 정신건강 대응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을 갖고 즉시 성명서를 작성하여 배포하기로

2022년 11월 12일: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강연: ‘정신과 의사의 현실 참여와 내적 성숙’
정신과 의사의 현실 참여와 내적 성숙정찬승 원장 (마음드림의원/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위원장)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도 사고 다음 날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즉각적인 성명을 발표하여 유가족과 사고 경험자뿐만 직간접적으로 사고에 노출된 국민의 2차적인 스트레스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각 병원의 진료실과 합동분향소 의협 상담부스 등에서 고통받는 국민에게

2022년 11월 7일: ‘트라우마 통역을 위한 가이드’, ‘정신건강상담 통역시 고려해야 할 실천가이드’ 교재, 동영상, 가이드라인 제작
외국어 사용자 지원을 위한 정신건강상담 통역시 실천가이드로서 ‘트라우마 통역을 위한 가이드’, ‘정신건강상담 통역시 고려해야 할 실천가이드’ 교재, 동영상, 가이드라인을 제작 (주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호모인테르, 국가트라우마센터,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상담에서 통역인과 통역의뢰인을 위한 실천 가이드[1] [통역인을 위한 안내] 1. 통역의 목적에 대해 사전에 최대한 정보를 얻고 이해한다. 2. 발화속도, 방식 등 구체적 상담진행방식에 대해

2022년 11월 7일: 트라우마 예방을 위한 재난보도 가이드라인 발표회에서 강연: ‘트라우마 공감 언론’
□ 행사 개요❍ 일시 : 2022년 11월 7일 (월) 10:30 ~ 12:00❍ 장소 :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재단 유튜브 생중계 병행)❍ 주최 : 한국언론진흥재단, 국가트라우마센터 □ 행사 순서❍ 사회 : 박아란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발제1] 트라우마 공감 언론 [발제2] 트라우마 예방을 위한 재난 보도 가이드라인 발표 [패널토론] ❍ 패널권영철 CBS

2022년 11월 4일: 안산온마음센터 주최 시민애도지원 특별 세미나 강연: ‘슬픔이 울분이 되지 않게-트라우마 공감 언론’
정찬승 원장은 안산온마음센터 주최 시민애도지원 특별 세미나에서 ‘슬픔이 울분이 되지 않게-트라우마 공감 언론’ 제하로 강연했습니다. 일시: 2022년 11월 4일 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I-ap9db_gvI

2022년 11월 2일: 상실과 애도의 상담 교육(이태원 참사 상실과 애도 상담 안내서)
정찬승 원장은 이태원 참사 후 상실과 애도의 상담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강의했습니다. 교육자료제작: 정찬승, 안유석, 김수진, 김은영강의: 정찬승 사회공헌특임이사 상실과 애도의 상담 (이태원 참사 상실과 애도 상담 안내서)제작: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책연구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위원회,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비난과 혐오는 트라우마를 악화시킵니다.공감과 위로는 트라우마를 치유합니다. 희생자의 잘못이 아닙니다.가족의 잘못도 아닙니다.당신의 잘못이 아닙니다.애도와 상실에서 죄책감을

2022년 3월 14일: “코로나ing, 언론인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프로젝트 1.0” 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코로나)는 우리 사회 모든 영역을 침범하 고 위축시켰습니다. 언론도 예외가 아닙니다. 코로나로 인해 취재 현장 접근을 제한 당하는 현장 언론인들은 밭을 빼앗긴 농부처럼 탄식합니다. 그렇지만 코로나는 취 재 보도에 대한 언론인들의 사명감을 꺾지는 못했습니다. 현장으로 향하는 마음과 갈 수 없는 발걸음, 게다가 치열한 취재 경쟁과 빠듯한 제작

2022년 3월 14일: “코로나ing 언론인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프로젝트 1.0” 라운드테이블
코로나ing 언론인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프로젝트 1.0Covid-19 Stress & Resilience Guideline for Korean Journalists [Ver 1.0] YouTube 한국언론진흥재단 유튜브 생중계 2022년 3월 14일(월) 14:30 – 16:00 주최: 한국언론진흥재단, 구글뉴스이니셔티브 협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서강헬스커뮤니케이션센터 코로나Ing 언론인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프로젝트1.0 유튜브 링크 바로가기 ☞ https://youtu.be/Y_l74ixVp-I?t=525 초대의 글 건강한 보도는 건강한 저널리스트에서 나옵니다.한국언론진흥재단과

2021년 10월 6일: 정신건강의 날 기념 대국민 특강
국립공주병원이 함께하는 정신건강의 날 기념 대국민 특강일시: 2021.10.06(수) 장소: 국립공주병원 희망관 (1부) 코로나19와 공존은 가능한가? – 이재갑 교수 (한림의대강남성심병원) (2부) 코로나 시대, 치유와 회복의 길 – 정찬승 원장 (마음드림의원) (3부) 질의 응답 – 이재갑 교수, 정찬승 원장, 이종국 국립공주병원장 10월 10일은 정신건강의 날입니다.World Mental Health Day.정신건강의 의미와 중요성을 모든 분들과

코로나19 대국민 심리지원
KSTSS 코로나19 대국민 심리지원정찬승(마음드림의원 원장) [2020 트라우마 치유주간]2020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일시 : 2020년 11월 27일(금) 09:00~18:00주최 :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KSTSS), 국가트라우마센터주관 :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KSTSS)후원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간호협회 정신간호사회,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한국심리학회,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교폭력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편지
정찬승융학파 분석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학교폭력은 아이의 몸과 마음은 물론이요, 사회생활과 아이의 미래까지 심각한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습니다. 폭력을 당한 많은 아이들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 찾아옵니다. 마음의 상처를 받은 아이는 우울증, 불안증, 공황발작, 공포, 불면증, 함구증, 대인기피, 악몽, 해리증상 등 스트레스 반응 때문에 고통받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혼자 있을 때도 가해학생이 욕설을 뱉는

사이버 폭력 피해자 마음건강지침
온라인에서 벌어지는 폭력도 실생활에서의 폭력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트라우마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온라인이건 실생활이건 폭력과 괴롭힘은 결코 용납될 수 없습니다. 누구도 당신의 인권과 존엄성을 해쳐서는 안 됩니다. 1. 알리세요 혼자서만 괴로워하지 말고 가족, 친구, 믿을 만한 사람에게 피해 사실을 알리세요. 인터넷에서 벌어지는 폭력은 한 사람이 감당하기에 너무나 큰 고통을 가져옵니다. 도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