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일보 칼럼: 마음에 새살 돋게 하려면… 트라우마와 ‘헤어질 결심’부터 [기고/정찬승]
긴 생머리가 무거워 보이는 한 여성이 정신분석을 받기 위해 찾아왔다. 사랑하는 남편과 소중한 어린 딸과 함께 가장 행복한 순간을 살고 있지만 감정 기복과 불안, 불면으로
긴 생머리가 무거워 보이는 한 여성이 정신분석을 받기 위해 찾아왔다. 사랑하는 남편과 소중한 어린 딸과 함께 가장 행복한 순간을 살고 있지만 감정 기복과 불안, 불면으로
제5회 고 임세원 추모 한림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너무나 과분하고 무거운 상입니다. 임세원 교수님의 뜻을 기려 ‘안전하고 편견없는 치료 환경’을 만드는 데에 보탬이 되기를 바라며 상금 전액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중 ‘문화예술인과 정신건강’ 심포지움에서 ‘문화예술인의 정신분석’ 강연 2024년 4월 18일~19일 서울 롯데호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위원회에서는 춘계학술대회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인과 정신건강’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첫 번째 연자인 정찬승 사회공헌특임이사가 문화예술인의 실제 정신분석 사례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겪는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Chan-Seung Chung In Melbourne in the latter half of 2023, alongside 13 journalists, I was drawn to explore not just the city’s charming wildlife but
일시: 2024년 3월 23일 토요일장소: 라마다동대문호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의원회에서 사회공헌특임위원회 활동 보고. 전문가가 사회적 책무를 이행하는 것은 사회와 사람을 돕는 것이자 또한 스스로를 돕는 것이다. 고립된
“선생님, 선생님도 파업하실 거예요? 그럼 저는 앞으로 어떻게 치료를 받아야 해요? 그동안 의사 선생님들을 존경했는데, 이번에 의사들이 환자를 버리고 파업하는 걸 보고 너무 놀라고 실망했어요.”
The collapse of trust: South Korea’s true health care crisis “Doctor, are you going on a strike too? Then how should I receive treatment from
정신과의사들과 뮤지컬 제작진이 함께 관객과의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작품에 대한 감상, 경계성 인격장애, 이해와 공감, 치료 과정의 어려움, 회복에 이르는 길… 차별과 낙인을 해소하고, 있는 그대로의
(06584)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230-1 융성빌딩 4층 마음드림의원
전화 02-535-8887
Department of Psychiatry, Maum Dream Clinic
4F, 230-1, Bangbae-ro, Seocho-gu, Seoul, 06584, Republic of Korea
Tel. +82-2-535-8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