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블루’ 날릴 활력 충전하자

‘코로나 블루’ ‘코로나 레드’ ‘코로나 블랙’이란 신조어는 각각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분노, 절망을 표현한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가 최근 발표한 국민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큰 ‘우울 위험군’은 9월 조사에서 22.1%로, 지난 3월(17.5%)과 5월(18.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경우 26.2%가 우울 위험군이었다. 자살을 생각한 사람도 13.8%나 됐다. 2018년 성인 중 자살을 생각한 사람 비율(4.7%)의 3배 가까이 됐다. 특히 취업난에 시달리는 젊은이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 대상자 중 20·30대의 우울·불안 정도가 가장 높았다.

코로나 블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 집단의 병적인 측면에만 집착하지 말고 개인의 다양한 면모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번 조사에서 우울증 증상 중 ‘피로감’과 ‘흥미·즐거움 상실’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 눈에 띈다. 이런 증상은 누구나 겪는 정상적인 스트레스 반응이기도 하다. ‘코로나 블루 대책’이란 보건정책은 자칫 국민 대다수가 우울하고 불안하다는 암시를 주어 불필요한 걱정을 하게 만들 수 있다. 고통이 심한 사람을 간과해서는 안 되지만 단지 피곤하고 일상에 재미가 없어진 사람들까지 획일적으로 환자 취급해서는 안된다. 질병 중심이 아니라 인간 중심 대책이 필요하다. 코로나19로 심각한 우울과 불안을 겪는 이들을 위한 심리치료 및 자살 예방 대책과 함께 피로감·지루함을 호소하는 평범한 사람들을 위해 코로나 블루를 날려버릴 활력 충전이 필요하다.

정찬승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재난정신건강위원회 홍보국장

Related Posts

조선일보 칼럼: 마약 하면 인생 끝? ‘낙인 캠페인’은 잘못된 접근이다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영광스러운 절정을 누리던 배우 이선균이 사망했다. 처음에는 마약에 대한 온갖 가십이 미디어를 뒤덮었고 사람들 혀끝에 오르내렸다. 대중은 공인의 부도덕함을 손가락질했고, 연예인 마약 수사가 줄을 이었다. 스타를 향한 대중의 사랑은 순식간에 지독한 혐오와 낙인으로 바뀌었고 절망의 끝은 죽음이었다. 과연 그렇게 낙인찍어야만 했을까? “어떤 마약중독자도 처음부터 소위 약쟁이가 되고

Read More »

2023년 12월 1일: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현대사회 아픔과 치유’에서 ‘이주민 정신건강과 트라우마’ 제하의 강연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로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이정애 기자님, 백종우 교수님과 함께 강연했습니다. 김영미 PD님도 전쟁 트라우마에 대해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장학사, 교사도 강연해주셨습니다. 사회정신의학회는 정신과의사 중에 가장 사회참여적인 분들이 모인 학회입니다. 다들 높은 관심을 갖고 들어주셨고, 이주민, 언론인, 교사의 상황과 마음을 이해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좋은 피드백을 주셨습니다. 이렇게 사람과 사람, 집단과 집단이 만나서 서로

Read More »
Call Now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