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해로부터 청소년과 청년을 지키자: 3. 자해 충동을 극복하는 방법

마음의 전염병, 자해로부터 청소년과 청년을 지키자

불쑥 올라오는 자해를 하고 싶다는 충동은 그리 오래가지 않습니다. 잠시라도 자해를 하지 않고 충동을 견디거나 해소한다면, 그 후로 자해를 하고자 하는 마음이 훨씬 약해집니다. 자해 충동을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1. 대화하세요.

– 친구와 만나도 좋고, 전화를 걸어도 좋고, 대화할 사람이 없다면 상담사에게 전화를 해도 좋습니다.

2. 함께 있는 사람이 당신을 힘들게 한다면, 바로 그 자리를 벗어나세요.

3.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리세요.

– 자해 충동이 생기면 15분 동안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려보세요.

– 외출하기, 음악 듣기, 운동 등 무엇이든 해롭지 않은 활동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4. 몸과 마음을 이완하고, 즐겁고 편안한 기억을 떠올려 보세요.

– 눈을 감고 기쁨을 주는 장소를 떠올려 보는 것도 좋습니다.

– 심호흡, 복식호흡, 명상, 요가도 큰 도움이 됩니다.

5. 감정을 표현하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세요.

– 꼭 붉은 피를 보고 싶다면, 붉은 펜으로 손목에 선을 긋는 방법도 있습니다.

6. 고통을 느끼고 싶다면, 해롭지 않은 고통을 찾아보세요.

– 아주 매운 음식 먹기, 얼음 움켜쥐기, 냉수로 샤워하기도 좋습니다.

7. 긍정적인 일에 마음을 집중하세요.

8. 감정을 써보세요.

– 일기 쓰기, 자신에게 편지 쓰기를 해보세요.

– 자신의 감정을 자세히 기록해서, 어떨 때 자해 충동이 생기는지, 어떻게 충동이 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9.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도움을 받으세요.

– 여러 가지 방법을 써봐도 자해 충동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망설이지 말고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만나세요.

10. 자신을 사랑하세요.

– 당신은 세상 그 무엇보다, 세상 그 누구보다 소중한 사람입니다.

 

글 _ 정찬승 (융 학파 분석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의학박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신보건위원회 상임위원
대한신경정신의학회·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이사
보건복지부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재난정신건강정보센터 연구원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교수
마음드림의원 원장

  • 2018년 9월 20일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와 교육부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가 공동 주관하여 개최한 급증하는 자해에 대한 이해 및 대책을 위한 특별 심포지엄 “자해 대유행, 대한민국 어떻게 할 것인가?”를 위해 작성한 원고입니다.

Related Posts

한국언론진흥재단 발행 ‘신문과방송’ 기고: 영상편집기자와 2차 트라우마: 상처를 편집하는 사람들, 그들의 트라우마에도 배려 필요해

+영상편집기자와 2차 트라우마: 상처를 편집하는 사람들, 그들의 트라우마에도 배려 필요해 +정찬승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 +2024년 11월호 No. 647 +전체 언론인 대상으로 트라우마 미디어 대책 환기 영상편집기자와 2차 트라우마 상처를 편집하는 사람들, 그들의 트라우마에도 배려 필요해 정찬승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보도 과정에서 언론은

Read More »

방송기자 칼럼: 트라우마 이미지, 영향과 대책

[전문기고] 트라우마 이미지, 영향과 대책 정찬승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 최근 언론인을 위한 트라우마와 스트레스 관리, 특히 충격적인 영상으로 인한 트라우마 대처에 대해 강의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많은 기자님이 참석했고 2시간으로 예정된 강의가 3시간이 넘어갈 정도로 뜨거운 관심과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중요한 질문을 하신 기자님의 동의를 얻어 대답을 지면으로 나누고자 합니다. 충격적인 사건이

Read More »
Call Now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