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4월 21일: ‘언론, 정신건강의 동반자’ 심포지엄 개최(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

Symposium 16 – 언론, 정신건강의 동반자 좌장 : 백종우 (경희의대), 심민영 (국립정신건강센터)

09:30-11:00 9 크리스탈볼룸3(2층)

저널리즘과 트라우마 / 이정애 (SBS 기자)

이태원 참사를 돌아보다-트라우마 예방을 위한 언론의 역할 / 김유나 (국민일보 사회부)

언론과 정신건강 발표자 / 이다영 (국립정신건강센터)

주제 요약: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언론은 사회에 필수적이고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언론인의 직무 현장은 다양한 사건과 사고의 현장이기도 하다. 언론인은 직무 중에 스트레스와 트라우마에 노출되며, 언론을 접한 일반 대중 또한 그 영향을 받는다. 심각한 재난과 참사에서 언론은 중요한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트라우마를 이해함으로써 재난 당사자, 뉴스 이용자와 언론인 자신 모두의 정신건강을 지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심포지엄에서는 언론인과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모여 정신건강을 지키는 협력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Related Posts

2023년 8월 11일: [대담] 사법입원보다 국민안심입원제도를 제안합니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 앞서 시행하고 있는 사법입원제는 판사나 준사법행정기관에서 의료진과 학계의 자문을 거쳐 중증 정신질환자의 입원을 판단하는 제도입니다. 세부적으로는 ‘사법입원’과 ‘심판입원'(정신건강심판원)으로 나뉩니다. 정신병적 증상이 너무 심하거나 자해, 타해의 위험이 있을 때 본인은 입원을 원하지 않더라도 아픈 사람을 치료하고 사회 안전을 지키기 위해 도입하는 것이 사법입원제입니다. 현재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는 가족

Read More »

흉기 난동 사건에 대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인터뷰 안내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최근 연달아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으로 언론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게 인터뷰 요청을 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회원 여러분이 언론과 인터뷰하실 때 도움이 되고자 아래와 같은 안내를 보내 드립니다. 1. 정신질환 추정 인터뷰를 지양해 주세요. 대상자를 직접 면담하여 진단하지 않고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조현병 등의 정신질환으로 단정 짓는 인터뷰는 정신질환에 대한

Read More »

시간의 속도: 시간이 빠르게 또는 느리게 흐르는 이유

정찬승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1. 정신병리와 시간의 속도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정신활동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시간이 평소보다 느리게 흐르는 것처럼 느껴지는 시간 지연 현상을 경험합니다. 하루가 더 길게 느껴질 수 있으며, 간단한 일을 하는 데에도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불안한 사람은 시간이 평소보다 빠르게 흐르는 것처럼 느껴지는

Read More »
Call Now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