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 12일: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강연

정신과 의사의 현실 참여와 내적 성숙
정찬승 원장 (마음드림의원/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위원장)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도 사고 다음 날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즉각적인 성명을 발표하여 유가족과 사고 경험자뿐만 직간접적으로 사고에 노출된 국민의 2차적인 스트레스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각 병원의 진료실과 합동분향소 의협 상담부스 등에서 고통받는 국민에게 최선의 정신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회원께서 함께해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회원여러분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외국인 상담을 위한 트라우마 통역 가이드, 회원들이 진료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상실과 애도 상담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배포하였습니다. 그리고 국가트라우마센터 통합심리지원단에 동참하여 정신건강상담, 정신건강교육 등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장관 주최 간담회, 언론설명회, 의협-의사회-대신정 회의 등에 참여하며 재난정신건강시스템의 개선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4년 세월호 사고 이후 트라우마를 경험한 분들의 정신건강문제를 지원하기 위해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대한정신건강재단 산하에 재난정신건강위원회를 설립한 바 있습니다. 세월호 사고 당시 300여 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자원봉사로 참여해주셨고 현재 120여 명의 전문의가 재난정신건강위원회에 참여해주고 계십니다. 

이후 2015년 메르스 사태,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 2020년 코로나19 판데믹 등 상황에서 재난정신건강위원회는 재난으로 고통받는 분들을 위해 정신건강상담 제공, 대국민정신건강지침 및 진료 지침 제작, 다양한 재난정신건강 연구 등의 활동을 펼치며 정신건강전문가로서 사회적 요구에 적시에 응답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재난 시기에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재난 후 Triage를 통해 적극적인 평가와 개입 그리고 처방 등 주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 시기에 맞는 근거에 기반한 정신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재난정신건강의 핵심적인 내용을 주제로 긴급 워크숍을 온오프라인 동시에 개최하였습니다. 워크숍 영상을 공유하오니 많은 정신건강전문가에게 널리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일시: 2022년 11월 12일(토) 2시 30분 ~ 5시 30분

주제1. 재난정신건강의 개요
좌장 오강섭 이사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장)

재난정신건강가이드라인과 재난위 네트워크 
백종우 교수 (경희대병원/재난정신건강위원장)

정신과 의사의 현실 참여와 내적 성숙
정찬승 원장 (마음드림의원/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위원장)

재난 현장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역할
백명재 교수 (경희대병원)

주제2. 재난정신건강의 핵심 기법
좌장 채정호 교수 (서울성모병원/전 재난정신건강위원장)

심리적응급처치/문제관리플러스/마음건강 회복 기술훈련
석정호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체안정화기법
허휴정 교수 (인천성모병원)

애도상담의 실제
심민영 센터장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

재난 현장의 이해 및 소아청소년과 재난
김은지 원장 (마음토닥정신건강의학과의원)

Related Posts

10.29 이태원 사고 대응 트라우마 예방 및 회복을 위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활동

정찬승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홍보국장 I. 사고 발생 직후의 신속한 정신건강 대응 2022년 10월 29일 밤 이태원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고가 일어났고, 언론과 개인이 참상을 촬영하여 무분별하게 방송과 인터넷에 퍼뜨리기 시작했다. 재난정신건강위원회는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이 시작된 직후에 정신건강 대응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을 갖고 즉시 성명서를 작성하여 배포하기로

Read More »

2022년 11월 25일: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교육워크숍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 Symphosium I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토론

정찬승 원장은 2022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I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토론을 맡았습니다. 2022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교육워크숍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 [초대의 글] 2022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올해 추계학술대회에서는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심포지엄과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 먼저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Read More »

2022년 11월 2일: 상실과 애도의 상담 교육(이태원 참사 상실과 애도 상담 안내서)

정찬승 원장은 이태원 참사 후 상실과 애도의 상담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강의했습니다. 교육자료제작: 정찬승, 안유석, 김수진, 김은영강의: 정찬승 사회공헌특임이사 상실과 애도의 상담 (이태원 참사 상실과 애도 상담 안내서)제작: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책연구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위원회,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비난과 혐오는 트라우마를 악화시킵니다.공감과 위로는 트라우마를 치유합니다. 희생자의 잘못이 아닙니다.가족의 잘못도 아닙니다.당신의 잘못이 아닙니다.애도와 상실에서 죄책감을

Read More »
Call Now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