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23일: ‘언론인을 위한 스트레스와 트라우마 이해하기’ 강의 (한국언론진흥재단 수습기자 기본교육_취재기자를 위한 스트레스&트라우마 관리)

일시: 2022년 9월 23일 (금) 오후 1시 ~ 3시
장소: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트라우마 공감 언론(Trauma- informed journalism) 요약

  • 뉴스룸의 스트레스와 트라우마 이해는 모든 사람을 구한다.
    언론인, 정보제공자, 인터뷰이, 시민 등 모두에게 이롭다.
  • 언론인은 직무상 트라우마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누구나 회복력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언론인은 직무상 스트레스와 트라우마에 잘 대처하고 회복한다. 하지만, 때로는 그 영향이 오래 지속될 수 있다.
  • 트라우마에 대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트라우마와 그 영향에 대해서 이해하고, 트라우마를 당한 동료에게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 트라우마 공감 언론(Trauma- informed journalism)으로 더 좋은 언론을 만들 수 있다.
  • 자신의 정서적 반응을 인정하고 꺼내놓을 수 있는 능력이 전문성과 회복력의 증거다.

Related Posts

조선일보 칼럼: 마약 하면 인생 끝? ‘낙인 캠페인’은 잘못된 접근이다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영광스러운 절정을 누리던 배우 이선균이 사망했다. 처음에는 마약에 대한 온갖 가십이 미디어를 뒤덮었고 사람들 혀끝에 오르내렸다. 대중은 공인의 부도덕함을 손가락질했고, 연예인 마약 수사가 줄을 이었다. 스타를 향한 대중의 사랑은 순식간에 지독한 혐오와 낙인으로 바뀌었고 절망의 끝은 죽음이었다. 과연 그렇게 낙인찍어야만 했을까? “어떤 마약중독자도 처음부터 소위 약쟁이가 되고

Read More »

2023년 12월 1일: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현대사회 아픔과 치유’에서 ‘이주민 정신건강과 트라우마’ 제하의 강연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로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이정애 기자님, 백종우 교수님과 함께 강연했습니다. 김영미 PD님도 전쟁 트라우마에 대해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장학사, 교사도 강연해주셨습니다. 사회정신의학회는 정신과의사 중에 가장 사회참여적인 분들이 모인 학회입니다. 다들 높은 관심을 갖고 들어주셨고, 이주민, 언론인, 교사의 상황과 마음을 이해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좋은 피드백을 주셨습니다. 이렇게 사람과 사람, 집단과 집단이 만나서 서로

Read More »
Call Now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