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에서 아이들의 마음 건강 지키기

재난정신건강정보센터에서 재난 상황에 대한 심리적 대처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재난은 어른들에게도 힘든 상황이며, 아이들에게는 견디기 힘든 사건입니다. 아이들은 불안에 압도당하고 부모 곁을 떠나지 않으려고 합니다. 청소년의 경우 이해할 수 없는 말이나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지나친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다음의 사항을 유의하세요.

1. 부드럽게 아이의 옆에 함께 있어 주세요.

가능한 아이를 혼자 두지 마세요. 아이가 불안해할 때는 안아주는 등 스킨십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2. 아이가 하는 말을 잘 들어주고,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설명해 주세요.

아이가 무서운 경험과 걱정을 이야기하고 궁금한 것을 물어볼 때는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상황과 피해를 간단하게 설명해 주세요. 그러나, 아이에게 너무 꼬치꼬치 물어보거나 너무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3. 아이가 몸의 병이 없는데도 여기저기가 아프고 불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신체적인 원인 없이 울렁거림, 구토, 두통, 복통 등 몸이 아프고 불편하다고 하는 것은 불안 때문에 나타나는 스트레스 반응입니다.

몸이 편안해지도록 안마를 해주거나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긴장을 푸는 호흡법을 알려주세요.

4. 아이를 책망하지 마세요.

불안할 때 아이들은 평소에 잘하던 일도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화장실에 혼자 가지 못하고 말을 못 하게 되기도 합니다. 너무 흥분하는 아이, 절망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무서운 체험을 하면 일어날 수 있는 반응입니다. 그것을 책망하면 오히려 불안이 증가해 버리고, 아이는 자신이 나쁜 아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지금 아이가 실패해도 소리 지르거나 나무라지 마세요. “그럴 수도 있어. 괜찮아” “많이 무서웠구나” 등의 말을 하며 격려해주고 공감해 주세요.

5. 재난 뉴스를 계속 여러 번 보는 것은 삼가 주세요.

어린 자녀와 불안이 심한 아이에게는 TV 영상도 트라우마가 될 수 있습니다. 자극적인 방송, 불안을 유발하는 방송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아이들끼리 어울려 놀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림을 그리거나 놀이를 하는 등 아이다운 행동을 하는 것을 지지해주세요. 아이는 놀이 활동을 통해서 불안을 이겨내고 마음을 회복합니다.

7. 아이를 너무 흥분시키는 활동은 피하세요.

비록 재미있는 활동이라도 아직 불안에서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이는 자신을 조절하지 못하고 너무 무리하거나 산만해져서 부상을 당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평소대로 일정한 생활 리듬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재난에서 아이들의 마음 건강 지키기

  • 위 내용은 현재 개발 중인 ‘재난정신건강정보센터’에 기고한 자료입니다. 널리 공유해주세요. 출처는 다음과 같이 밝히면 됩니다. “출처: 재난정신건강정보센터(http://www.traumainfo.org)”
  • 재난정신건강정보센터(http://www.traumainfo.org)는 보건복지부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단의 연구과제로 재난 시 마음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과 정보를 알리기 위한 홈페이지입니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HM15C1112)
    재난정신건강지원 정보콘텐츠 및 플랫폼 개발 연구

Related Posts

조선일보 칼럼: 마약 하면 인생 끝? ‘낙인 캠페인’은 잘못된 접근이다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영광스러운 절정을 누리던 배우 이선균이 사망했다. 처음에는 마약에 대한 온갖 가십이 미디어를 뒤덮었고 사람들 혀끝에 오르내렸다. 대중은 공인의 부도덕함을 손가락질했고, 연예인 마약 수사가 줄을 이었다. 스타를 향한 대중의 사랑은 순식간에 지독한 혐오와 낙인으로 바뀌었고 절망의 끝은 죽음이었다. 과연 그렇게 낙인찍어야만 했을까? “어떤 마약중독자도 처음부터 소위 약쟁이가 되고

Read More »

2023년 12월 1일: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현대사회 아픔과 치유’에서 ‘이주민 정신건강과 트라우마’ 제하의 강연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로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이정애 기자님, 백종우 교수님과 함께 강연했습니다. 김영미 PD님도 전쟁 트라우마에 대해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장학사, 교사도 강연해주셨습니다. 사회정신의학회는 정신과의사 중에 가장 사회참여적인 분들이 모인 학회입니다. 다들 높은 관심을 갖고 들어주셨고, 이주민, 언론인, 교사의 상황과 마음을 이해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좋은 피드백을 주셨습니다. 이렇게 사람과 사람, 집단과 집단이 만나서 서로

Read More »
Call Now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