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자문: 갑질의 심리학

조선일보의 자문요청으로 현재 한국 사회의 큰 이슈가 된 갑질의 심리학에 대해서 자문했습니다.

갑질은 권력 콤플렉스의 문제입니다. 권력에 사로잡히거나 동일시하면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능력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결국은 갑질을 하는 자신의 영혼도 파괴되고 맙니다.

다음은 본문에서 발췌한 인터뷰 내용입니다.

정신과 전문의 정찬승 마음드림의원 원장은 “우울증을 호소한 환자들과 상담하다 보면 갑질 피해 경험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갑질을 처음 당한 사람은 자신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존재로 규정하고 무력감을 느끼게 된다. 갑질을 당한 경험이 이에 저항할 수 없는 심리 상태를 만드는 악순환이 일어난다”고 했다. (중략)

정찬승 원장은 “한국인은 식민, 독재, 양극화를 겪으며 힘이 있어야 살아남는다는 권력 콤플렉스를 강하게 내면화했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자신의 직업·직위와 자신의 가치를 동일시하지 말고 위계질서에서 자신을 떨어뜨려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저항하지 못한다면 일단 그 상황을 빠져나오는 것도 방법”이라며 “어려서부터 모든 개인이 가치 있다는 평등의식을 심어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보기: [Why] 갑자기 욱해서 “사장 불러!”… 을의 숨은 얼굴 ‘갑질’ – 갑질의 심리학

정찬승 원장은 갑질 현상에 대한 심층심리학적 견해를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의 주최로 2016년 6월 30일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열린 ‘2016년도 제4회 정신건강정책포럼 “갑을관계”_일상에서의 상처와 트라우마’에서 발표했습니다.

우리 안의 갑과 을 – ‘갑질’의 심층심리학적 이해

Related Posts

10.29 이태원 사고 대응 트라우마 예방 및 회복을 위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활동

정찬승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홍보국장 I. 사고 발생 직후의 신속한 정신건강 대응 2022년 10월 29일 밤 이태원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고가 일어났고, 언론과 개인이 참상을 촬영하여 무분별하게 방송과 인터넷에 퍼뜨리기 시작했다. 재난정신건강위원회는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이 시작된 직후에 정신건강 대응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을 갖고 즉시 성명서를 작성하여 배포하기로

Read More »

2022년 11월 12일: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강연

정신과 의사의 현실 참여와 내적 성숙정찬승 원장 (마음드림의원/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위원장)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도 사고 다음 날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즉각적인 성명을 발표하여 유가족과 사고 경험자뿐만 직간접적으로 사고에 노출된 국민의 2차적인 스트레스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각 병원의 진료실과 합동분향소 의협 상담부스 등에서 고통받는 국민에게

Read More »

2022년 11월 25일: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교육워크숍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 Symphosium I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토론

정찬승 원장은 2022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I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토론을 맡았습니다. 2022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교육워크숍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 [초대의 글] 2022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올해 추계학술대회에서는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심포지엄과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 먼저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Read More »
Call Now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