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자문: 편집성 인격장애. 동아일보

동아일보의 요청으로 편집성 인격장애에 대해 인터뷰했습니다.

기사 중 인용

전문가 TIP

타인이 항상 자신을 괴롭히거나 피해를 준다고 생각하는 ‘피해의식’은 편집성 인격장애의 특징이다. 무시당했다는 생각에 사로잡히면 원한을 품고 화를 쉽게 풀지 못한다. 항상 억울한 일을 당한다고 생각해 사소한 일에도 공격적이기 쉽다. 민원을 남발하거나 인터넷에 불평불만을 늘어놓기도 한다.

비현실적 피해의식이 심해지면 망상처럼 보일 때도 있다. 심해지는 집요함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그를 도저히 못 말리는 사람으로 생각해 멀리하거나 피한다. 아무도 상대해주지 않는 외로움으로 피해의식은 더욱 커지고 고소광이나 민원왕이 돼 무너진 자존감을 지키려 한다.

모든 것을 남 탓으로 돌리는 피해의식 때문에 자신의 진실된 모습을 보기 어렵다. 만사가 억울할 때 그것이 자신이 만든 허상은 아닌지 고민해야 한다. 울분을 토하고 집요하게 따지는 자신의 태도가 타인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지는 않은지 성찰해야 한다. 누구나 일정한 피해의식을 갖고 산다. 하지만 자신이 당했다는 것이 사실이든 혼자만의 망상이든, 타인을 공격하고 해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정찬승 융학파 분석가·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기사 읽기: 지나친 피해의식, 편집성 인격장애인지 의심을…

Related Posts

10.29 이태원 사고 대응 트라우마 예방 및 회복을 위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활동

정찬승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홍보국장 I. 사고 발생 직후의 신속한 정신건강 대응 2022년 10월 29일 밤 이태원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고가 일어났고, 언론과 개인이 참상을 촬영하여 무분별하게 방송과 인터넷에 퍼뜨리기 시작했다. 재난정신건강위원회는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이 시작된 직후에 정신건강 대응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을 갖고 즉시 성명서를 작성하여 배포하기로

Read More »

2022년 11월 12일: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강연

정신과 의사의 현실 참여와 내적 성숙정찬승 원장 (마음드림의원/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위원장)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도 사고 다음 날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즉각적인 성명을 발표하여 유가족과 사고 경험자뿐만 직간접적으로 사고에 노출된 국민의 2차적인 스트레스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각 병원의 진료실과 합동분향소 의협 상담부스 등에서 고통받는 국민에게

Read More »

2022년 11월 25일: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교육워크숍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 Symphosium I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토론

정찬승 원장은 2022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I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토론을 맡았습니다. 2022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교육워크숍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 [초대의 글] 2022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올해 추계학술대회에서는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심포지엄과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 먼저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Read More »
Call Now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