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자문: “나 좀 관리해주세요” 호소하는 젊은이들

한국일보의 자문요청으로, 젊은이들이 취업이나 공무원시험 합격하기 위해 합숙학원까지 찾아가는 행태에 대해 논했습니다.

요즘 젊은이들의 취업 입시 준비에서 보이는 과도한 행태는 성공하기위한 노력보다는 실패와 낙오에 대한 불안 때문입니다. 돈으로 불안을 해소하려는 시도인데, 이것은 임시방편이고 곧 더 큰 불안이 와서 더 큰 비용을 지출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청년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하고 사회는 청년에게 안정적인 도전의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독립심이 약할수록 불안한 상황에서 집단에게 의지하려고 합니다. 입시에서 여러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좋지만, 이것이 지나쳐서 합숙까지 하는 것은 신경증적인 행태라고 생각됩니다.

여러 전문가들을 인터뷰하여 좋은 기사를 작성해주신 한국일보 김치중 기자님께 감사드립니다.

기사보기: “나 좀 관리해주세요” 호소하는 젊은이들

Screen Shot 2015-01-24 at 6.00.50 PM

Related Posts

10.29 이태원 사고 대응 트라우마 예방 및 회복을 위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활동

정찬승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특임이사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홍보국장 I. 사고 발생 직후의 신속한 정신건강 대응 2022년 10월 29일 밤 이태원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고가 일어났고, 언론과 개인이 참상을 촬영하여 무분별하게 방송과 인터넷에 퍼뜨리기 시작했다. 재난정신건강위원회는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이 시작된 직후에 정신건강 대응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을 갖고 즉시 성명서를 작성하여 배포하기로

Read More »

2022년 11월 12일: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강연

정신과 의사의 현실 참여와 내적 성숙정찬승 원장 (마음드림의원/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회공헌위원장) 대한정신건강재단 재난정신건강위원회 긴급 워크숍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도 사고 다음 날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즉각적인 성명을 발표하여 유가족과 사고 경험자뿐만 직간접적으로 사고에 노출된 국민의 2차적인 스트레스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각 병원의 진료실과 합동분향소 의협 상담부스 등에서 고통받는 국민에게

Read More »

2022년 11월 25일: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교육워크숍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 Symphosium I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토론

정찬승 원장은 2022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I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토론을 맡았습니다. 2022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교육워크숍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 [초대의 글] 2022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올해 추계학술대회에서는 ‘트라우마의 곁에 선다는 것’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심포지엄과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 먼저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Read More »
Call Now Button